본문 바로가기
야운조사의 자경문에서

제 2 문; 자재불린(自財不吝) 타물막구(他物莫求)

by 운제산 구름 2024. 2. 19.
728x90
SMALL

 

 

2 ; 자재불린(自財不吝) 타물막구(他物莫求)

 

-내 재물은 아끼지 말고, 남의 재물은 탐하지 말라.

 

스님은 탐욕(貪慾)을 이렇게 경책(警策)한다.

 

삼악도(三惡道)의 괴로움에는 탐내는 업이 첫 번째이고,

육바라밀(六波羅密)

실천문(實踐門)에서는 보시(布施)를 행하는 것이 맨 앞에 있다.

아끼고 탐욕함은 선도(善道)를 막게 하고,

자비로운 베풂은 악()한 길을 막게 한다.

만일 가난한 사람이 와서 구걸하면 비록

궁핍한 처지라 하더라도 인색함이 없어야 한다.

세상에 나올 때 한 물건도 없이 왔듯이

갈 때도 또한 빈손으로 간다.

자신의 재물임에도 연연하는 마음이 없어야 하거늘

다른 이의 재물에 어찌 마음을 두겠는가?

죽을 때는 갖은 재물 가져갈 수도 없고 자신을

따르는 업()이 있을 뿐이다.

삼일만 마음을 닦아도 천 년 누릴 보배와 같고,

백 년 동안 탐욕으로 재물을

모은 것은 하루아침에 날아갈 티끌과 같다.

 

삼도고본인하기(三途苦本因何起)

지시다생탐애정(只是多生貪愛情)

아불의우생리족(我佛衣盂生理足)

여하축적장무명(如何蓄積長無明)

 

삼악도의 고()는 본디 무엇으로 일어나는가?

오직 다생(多生)의 탐욕(貪慾)과 애증(愛憎)의 마음으로 일 뿐

부처님의 법의(法衣)와 발우(鉢盂)만으로 삶이 충분하거늘

어찌 길이 무명(無明)만을 축적(蓄積)하랴?

(초발심자경문에서,일휴편역, pp.71-73)

 

-삼악도; 지옥(地獄), 아귀(餓鬼), 축생(畜生)의 세계

-육바라밀;보시(布施),지계(持戒),인욕(忍辱),정진(精眞),선정(禪定),지혜(智慧)를 말한다.

LIST